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엽산 섭취 부작용과 과다 섭취시 일어날 수 있는 증상은?

임신과 영양

by 닥터케어 2021. 6. 29. 13:48

본문

엽산은 생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이지만 엽산 보충제를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면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엽산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알려진 부작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비타민 B12 결핍으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

엽산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비타민 B12 결핍시 일어나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 비타민 B12 결핍의 발생을 인지하지 못해 비타민 B12 결핍으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을 영구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장암 및 기타암의 위험 증가

높은 함량의 엽산 섭취시 종양 전 다수의 실험에서 종양으로 변형하기 전 세포의 진행을 가속하하여 대장암이나 기타 암의 위험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권장량 이상의 엽산 섭취를 주의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대사되지 않은 엽산 생성

엽산의 대사과정에서 과량의 엽산은 대사되지 않은 엽산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는 네츄럴킬러셀 (NK cell) 세포의 감소와 활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면역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어지는 연구결과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아직 충분치 않은 수준이라 논쟁의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제한된 연구에 따르면 300~400 mcg의 엽산의 단일 용량은 대사되지 않은 엽산 생성이 일어난 반면 100~200 mcg을 섭취할 경우 혈액내에서 대사되지 않은 엽산의 생성이 일어나지 않는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엽산의 부작용을 막을 수 있는 상한섭취량은?

위에서 설명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엽산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의 Food and Nutrition Board (FNB)에서는 엽산 섭취와 관련된 연구결과를 통해 아래와 같이 상한 섭취량을 설정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한 섭취량은 오직 보충제를 통한 섭취를 말하며, 천연식품, 즉 요리 또는 음식재료를 통해 섭취하는 엽산에는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설정되지 않았습니다. 
*보충제 = 정제되어 판매되는 모든 엽산 영양제

 

 

하지만 의사의 감독하에 높은 용량의 엽산 보충제를 먹는것은 이러한 상한섭취량을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인터넷의 지식보다 의사의 처방이 항상 우선시 되는것을 잊지 마세요!!

 

엽산 단위 참고

▶ 1,000 mcg = 1,667 mcg DFE 
▶ 0.6 mcg = 1 mcg DFE

 

References

-미국 국립 보건원 보고서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